본문 바로가기
공부

임상시험 준비(계획서의 이해) - 23년 임상시험 QA신규자 과정 공부 (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)

by recordthelife 2023. 3. 27.
728x90
반응형
SMALL

1. 임상시험계획서 항목 이해

1) 임상시험계획서 목차

-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제24조 2항에는 임상시험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목차가 총 16가지

  (1) 시험의 제목, 단계 , 계획서, 식별번호 및 제,개정이력 등

  (2) 시험계획서 요약

  (3) 서론(배경, 이론적 근거, 유익성, 위험성 평가 및 용량 설정 근거 등)

  (4) 시험의 목적

  (5) 시험모집단 (대상자수, 선정기준, 제외기준 및 중도 탈락 기준 등)

  (6) 시험설계 내용(시험기간, 시험군, 대조군, 배정, 눈가림 및 흐름도 등)

  (7) 시험종료 및 조기중단 기준

  (8)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정보 및 관리 (표시 및 포장, 투여경로, 투여방법, 보관조건, 수불관리, 회수 및 폐기 등)

  (9) 시험의 방법 및 투약 계획 등 (투여 및 치료일정, 병용약물, 투여금지 약물 및 치료순응도 등)

  (10) 시험 절차 및 평가 (방문일정, 시험일정표, 유효성, 안전성 평가변수와 평가 및 이상반응 보고 등)

  (11) 자료 분석 및 통계학적 고려사항 (분석군, 통계분석 방법, 판정기준, 분석시기 및 대상자수 설정근거 등)

  (12) 자료관리 (기록, 수집, 접근, 보호 및 보관등)

  (13) 윤리적 고려사항 및 행정적 절차(임상시험관리기준 및 동의절차 등 규정, 윤리준수, 대상자 안전보호 대책, 결과발표, 환자기록 비밀유지, 품질관리 및 신뢰성 보증 등)

  (14) 임상시험을 하려는 자의 정보, 시험책임자 성명 및 직책

  (15) 두 제제에 대한 동등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비교용출 시험방법 

    - 임상시험 중 생물학적 동등성시험을 실시하는 경우만 해당

    - 생물학적 동등성시험에 사용할 대조약과의 비교용출시험결과가 대조약과 동등한 것으로 판정된 품목으로서 비교용출시험 실시 후 해당 품목의 원료약품 및 그 분량, 제조방법 및 제조원의 변경이 없는 품목은 비교용출 시험방법을 적지 아니할 수 있음. 

  (16) 그 밖에 임상시험을 안전하게 과학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

 

2) 임상시험계획서 작성 전 고려해야 할 사항

- 임상단계별 목적

단계 목적
Phase I 건강한 지원자 Single/multiple dose
Selection population
formulation bridge
safety/tolerability PK/PD : ADME
Drgu interaction BE/BA
Phase I b 환자
Phase II a therapeutic exploratory proof of concept dose exploration
Phase II b definite dose finding studies extension study of Ph II b
Phase III therapeutic confirmatory active vs comparision/placebo long term safety
extension study pre-NDA commitment
Phase IV differentiation studies to support differentiation and publication claim or to prepare launch
RCT, OS comparative effectiveness studies, study of additional endpoints, outcome(mortality/morbidity)
rPMS post-marketing surveillance studies(RMP, REMS)

- 대상 질환 이해

- 규제당국의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(MFDS, FDA, EMA, PMDA)

- 안전성, 윤리성

- 개발회사의 전략 (시험약의 포지셔닝 : 1차요법 VS 2차요법, 단독요법 VS 병행요법)

- 약가

 

3) 임상시험계획서 작성 절차

 - 논문, 저널, 가이드라인, 임상자료

- concept 및 synopsis 작성

- 임상시험 계획서 초안 작성 및 검토

- 최종 임상시험계획서 작성

 

4) 임상시험계획서 주요항목

- 임상시험 목적 및 평가 변수

- 시험대상자

- 선정제외기준

- 시험군

- 대조군

- 위약 선정

- 임상시험 디자인

-임상시험 일정표

- 임상시험 절차

- 결과-자료 수집 및 통계

- 유효성 평가변수 고려사항

- 대상자 수 산출 시 고려사항

- 분석군

 

2. 계획서, 동의서 변경관리의 이해

1) 계획서 작성 시 주의할 점

- 1차 유효성 평가변수에 집중해야 할 것

- 대상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자세 필요

- 계획서는 전체적으로 일관성이 있어야 함.

- 임상시험일정표와 서술된 절차 상에 불일치되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 필요

- 수집할 data에 대해 심도있게 고민하고 수집방법이 타당한 근거가 있는지 살펴봐야 함

- 주 분석군, 평가분석 방법 등 고려

 

2) 계획서 변경

- 임상시험 계획서 내용 중 변경이 필요한 경우 임상시험 계획서 작성 절차에 준하여 변경 초안을 작성하고 반복 검토 후에 최종 변경 계획서를 작성

 

3) 임상시험대상자 동의서

- 동의 과정의 목적

   해당 임상시험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대상자에게 제공

   대상자가 임상시험 및 절차에 대해 이해했는지 확인

   임상시험 참여의 기회를 제공

   대상자와 시험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 교환

 

- 동의서 변경 주요 사유

    응급 상황시, 연락 가능한 연락처 변경

    안전성 정보 변경

    임상시험계획서 변경에 따른 동의서 변경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