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

임상시험용 의약품 관리의 이해 - 23년 임상시험 QA신규자 과정 공부 (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)

by recordthelife 2023. 3. 29.
728x90
반응형
SMALL

1.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정의

1) KGCP의 정의

-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결과를 얻고 시험대상자의 권익보호와 비밀보장을 이루게 하는 것. 

- 시험약 = 의약품 중 대조약을 제외한 의약품/ 대조약 = 시험약과 비교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위약 또는 시판중인 의약품

 

2) 구제약이나 병용약물의 정의

 - 진통제(구제약)과 항암제(병용약물)은 시험약 혹은 대조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임상시험용 의약품으로 기재하지 않음

 

2. 관리약사의 역할, 업무

1) 관리약사의 지정 

- 모든 임상시험약은 관리약사가 아니라도 연구자가 심사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IRB의 승인을 받으면 직접 관리가 가능

 

2) 관리약사의 지정

 - 임상시험계획서 검토

- 개시모임 참여 및 문의사항 정리

- 투약계획 수립

- 제약회사에서 IP를 보내주고 지정된 인수절차를 수행

- 처방전이 발행되면 관리약사가 처방에 오류가 없는지 모든 항목을 검토

- 수불기록지를 작성하면서 조제를 수행

- 다른 약사가 조제한 약이 처방과 일치하는지 감시

- 의뢰자 측에서 점검하거나 종료시점에 실태조사를 진행

- 계획서에 명시된 조건으로 보관 및 재고관리가 되는지 확인

 

3) 개시모임과 투약계획 수립

- 개시모임 참석 시 확인사항

    전반적인 protocol이해

    구체적인 시험 방법 이해

    주사제의 처방방법 및 투약방법 문의

    사용한 약의 반납 범위 합의

    IP 이외에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약의 여부 파악하고 관리 주체와 연구비 처리 여부 확인

    CRA 및 CRC의 연락처 확인

    IP 입고 시기 확인 및 보관 가능 수량 합의

- 임상시험 요약 정보지 작성

   여러 명의 관리 약사가 업무를 진행하면 임상시험 요약정보를 만들어 모든 약사가 공통 서식을 정리

   관리약사 1인이 작성하고 다른 사람이 전체적으로 내용 검토, 작성

   모든 약국 파일의 맨 앞에 보관하여 조제 시 수시로 참고하는 정보로 활용

   임상시험 요약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약사를 교육시키고 서명과 날짜를 기록

- IP코드 생성 및 처방 안내메일 발송

   처방오류방지

   처방 검토시 오류수정을 부탁하는 전화 업무 감소

 

3. 임상시험약 인수 시 주의사항

1) 개요

-수치위인의 이름과 기관명을 확인한 후 인수증 내용, 도착한 약품의 일치여부 확인

- lot번호와 유효기간이 없는 경우 인수증의 공란에 별도기재

- 인수시점이 식약처장과 IRB승인 이후인지 확인하고 날짜와 서명을 기재

- 인수서명은 인수증과 IP가 정확히 동일함을 확인하였다는 의미이므로 문제시 약사도 책임을 면하기 어려움. 

 

2) 인수 시 격리 보관해야 하는 경우

- 수량 및 포장 상태에 이상이 있거나 파손이 있는 경우

- 임상시험용 의약품 라벨 표시기재 사항과 눈가림 유지방법에 이상이 있는 경우

 

4. 임상시험약 포장과 라벨링의 특징

1) 개요

- 의약품의 표시 및 기재사항

   임상시험 목적으로만 사용가능하다는 문구

   IP명칭 또는 식별 표시

   내용물과 포장작업을 식별할 수 있는 배치번호 또는 코드 번호

   의뢰자의 명치, 주소, 전화번호

   사용기간

    보관조건

   어린이 손에 닿지 앟는 곳에 보관을 알리는 내용

   임상시험을 식별할 수 있는 참고코드

   대상자 식별번호, 임상약 번호, 방문번호

 

2)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제조, 포장, 표시기재 및 코드화 항목

- 의뢰자는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적절한 저장방법, 용법, 사용기한 및 유효기간을 정하여 임상시험과 관련한 모든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설명

- 임상시험의 특성상 유효기간이 자주 변경된다면 RELABELING의 사유가 있을 때 관련 업무는 의뢰자의 의무로 KGCP에 명시되어 있음을 강조

 

5.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처방검토 및 조제

1) 약국 파일의 구성

- 임상시험 요약정보

- 약별 기록지

- 대상자별 기록지

- 처방전

- 인수증/반납증

- 온도기록지

- 계획서

- 서신교환(주기적 보고)

 

2) 임상시험용 처방전의 구성

- 행정정보

- 대상자 식별 정보

- 처방관련 정보

- 처방본문

- 비교/용법 비교

 

3) 처방 검토 및 조제

- 해당 임상시험의 요약정보를 확인하고 정확성을 검토하고 오류가 있을 시 연구진에게 처방수정을 요청

- 처방 중재를 거친 후 수정된 처방전과 라벨을 이용해 기본문서에 기록하며 조제하고 처방전에 조제자 서명을 남김

 

4) 임상시험용의약품 복약지도

- 복용시기(낮, 밤) 복용순서(순번표기), 여유분의 약을 제공

- 남은 약은 약국에 반납해야 하므로, 반납약과 반납확인증은 약국에 전달

 

5) 반납약 - 복용 후 남은 약 회수

- 대상자의 복약이행률을 확인하고 남은 약은 회수하고 약국파일의 대상자별 로그지에 수량을 기재

-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인 경우 연구자가 폐기하는 의뢰자의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미리 SOP에 기관 폐기 절차를 명시하여 원내에 폐기

 

6) 반납증 작성 후 의뢰자로 반납

- 반납증의 내역을 확인하고 약사의 서명 후 약국파일에 보관

- 픽업문서도 반납서류와 함께 보관

 

6. 임상시험용의약품의 보관과 특징

1) 개요

- 접근제한된 공간에 보관(잠금 장치 필수)

- 연구별로 구분되도록 보관

- 반납약은 잠금장치가 있는 별도의 보관장에 보관

- 약품 보관 온도 관리

- 약품 보관 온도 벗어난 경우 알림 장치 작동

- BACK UP 냉장고 비치

- 반드시 교정된 온도계 사용

 

7. 임상시험 기본 문서관리

1) 임상시험 문서 변경, 정정 원칙

- 의뢰자는 문서 상의 기재 내용의 변경, 정정지침을 제공하고 원래의 내용을 알아볼 수 있도록 수정

- 잘못 쓰여진 부분에 가로로 한 줄 긋고 위, 옆에 올바른 정보를 기록하고 수정부분에 수정일, 수정이유, 서명 기재

- 겹처 쓰거나 수정액의 사용은 금지하고 시험 대상자가 만든 문서의 수정시 대상자가 직접 오기 서명 및 날짜 기입

 

2) 약품별 재고 로그

- 재고관리, 제조번호 및 유효기간 확인, 해당 IP가 배부된 대상자 확인을 목적으로 함

- 재고형 약별 로그지 - 공개형 연구에 적합

- 번호형 약별 로그지 - 번호 배정형 이중 눈가림 연구에 적합

 

3) 대상자별 로그

- IP가 계획서에 따라 사용되었음을 문서화하고 해당 대상자 식별정보가 2가지 이상 되도록 권고

- 투여 용량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연구는 용량 변경 이력이 추적될 수 있는 항목이 필요하고, 체중,BSA 등에 의해 용량 변경의 가능성이 있다면 BASELINE이 되는 값을 기재

- 재고형 대상자별 로그지는 시험대상자별로 작성하므로 연구 초기에 대상자 번호와 이니셜을 헤더에 올려서 반복 기재를 피하도록 세팅하면 편리함. 

- 번호별 대상자별 로그지는 어떤 약번호 약을 언제 누가 불출했는지 기록하고 다음번에 방문시 복용 후 남은 반납수량을 누가 언제 기록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.

 

4) 임상시험 종료 후 문서관리

- 연구진행동안은 시험책임자가 문서관리, 결과보고서 작성 이후에는 병원장이 지정하는 문서보관책임자가 관리(관리약사)

- 위임받은 업무가 유지되는 경우 약국에서 임상시험관련 약국문서를 보관하며, 종료되면, 시험책임자로 이관됨.

- 자료직접열람이 허용된 자를 제외하고는 대상자의 신원 또는 의뢰자의 지적재산 등에 관한 정보가 알려지지 않도록 함.

 

5) 문서의 보관기간

- 국내에서 IRB자료는 임상시험 완료일로부터 3년이고 기본 문서 중 품목허가를 위한 임상시험 관련 자료는 품목허가일로부터 3년, 이외의 임상시험 자료는 시험의 완료일로부터 3년임. 

- 국외의 IRB자료도 국내와 동일하게 3년간 보관하나 기본문서 중 시판 승인 신청을 목적으로 한다면 최소 2년간 보관해야 함. 

728x90
반응형
LIST

댓글